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지식

주식 예수금이란? 대용금과 예수금 출금가능금액 d+2 d+1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이제 시작한 주린이로 예수금이란 말에 대해 지난번에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kaaay.tistory.com/482

 

직장인 재테크 시작 주식 거래 - 주식 예수금이란

주식 거래할 때 예수금이란 단어를 본 적 있으시죠. 오늘은 주식에서에 나오는 예수금이란 단어가 무슨 뜻인지 같이 알아보도록해요. 예수금이란? 예수금은 네이버 지식백과 기준으로 신원보증

kaaay.tistory.com

 

이번에는 출금가능액을 포함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시 집어 보도록하겠습니다.

예수금이란?

예수금은 주식 거래를 하기 위한 자금입니다. 주식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주식 거래 전용인 '증권 계좌'에 미리 돈을 입금해놔야합니다.

 

증거금이란?

여기서 예수금 D+1~2를 알아보기 전에 증거금이라는걸 알아야합니다. 증거금은 예수금보다 더 많은 량의 주식을 주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증거금률이 50%라면 현재 예수금보다 2배 넘는 금액을 매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실제 금전 거래는 D+2일에 이뤄지는게 증권 거래인데요. 그래서 D+2일까지는 내가 구매한 주식에 해당되는 금액을 입금하면 됩니다. 어떻게 보면 약간의 2일치 신용 거래같기도 하죠?^^

 

예수금의 D+1 D+2란?

증거금을 말씀드릴때 한 얘기처럼 주식을 매수 매도했다고 완전히 거래가 완료되는게 아닙니다. 완전히 거래가 성립이 되려면 총 영업일 기준 2일이 소요됩니다. 그래서 실제 내 예수금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게 d+1 d+2를 따로 표시해주고 있습니다.

D+1이라면 내일 반영될 금액이고 D+2라면 모레 예상 계좌 잔액입니다.

매수를 한번만 하는 투자자라면 문제없겠지만 여러 종목을 매수매도하다보면 얼마의 금액이 필요한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손해를 보지 않도록 언제 얼마의 금액이 필요한지 알려주는게 예수금 D+1 D+2입니다.

만약 d+1 d+2를 표기할때 마이너스 금액이 있다면 증거금에서 주식은 샀지만 아직 내가 내야할 금액이 남아있는 경우입니다. 그러니 d -day가 도달하기 전에 미리 돈을 넣어두어야겠죠. 사실 이런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냥 증거금률을 100%로 설정하는게 마음 편합니다.

 

주식 매도 후 예수금 바로 출금 못할까요? 출금가능금액?

우리나라의 "증권예탁결제제도"는 3일 거래 방식으로 되어있습니다. 즉 오늘 내가 매도한 주식의 현금 인출이 당일에는 불가능합니다.

오늘 이후로 3일째 되는 날에 출금 가능해요. 그래서 D+2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2월1일 월요일 주식을 매도했다면 2월3일 수요일에 출금이 가능합니다. 3일째라고하는건 영업일 기준이기 때문에 주말이 끼면 더 늘어날 수도있다는 점도 미리 알고 가세요!

 

대용금이란?

고객의 보유 주식이나 채권 유가증권을 일정 비율만큼의 금액으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왜 환산을 해서 대용금이라고 보여줄까요? 이부분을 아는게 중요한데요. 대용금은 일종의 댐보대출의 성격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70~80%로 측정되여 주식거래시 신용거래로 이용 가능합니다. 당장 현금이 부족해도 주식이 있다면 일정 금액 추가로 매수할 수 있기 때문에 매력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어떻게보면 담보를 일으키는 레버리지 이기 때문에 손실이 더 크게 올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런 신용 대출을 활용한 주식 거래를 권장하지 않는 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