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쟁이 재테크의 시작은 바로 내가 받는 월급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아는 기본적인 지식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달 꼬박꼬박 받고 있는 내 피 값은 노력으로 받는 월급. 하지만 대부분은 잘 모르실텐데요. 세전월급과 세후 월급의 차이가 어떤 것 때문에 발생하는지 말이죠.
그냥 어렴풋이 세금 때문이겠구나라고 생각하실겁니다
이 기회에 월급 명세서에는 어떤 항목이 있는지 하나하나 같이 살펴보도록 해요
급여 내역
기본급
상여금
연장근무수당
복리후생비
모든 회사가 같은 건 아니지만 이정도 선에서 보통 나눠져있는데요
제가 다니는 회사의 경우 기본급 연장근무수당 야간근로수당, 기본급과 중식대로 이뤄져있습니다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항목을 알아두면 현재 회사에서도 그리고 이후 이직시에도 해당 항목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니 같이 알아보도록해요
"기본급"
기본급은 계약 된 노동 시간 내의 노동에 대해 지불되는 시간당 또는 월당 임금을 말합니다
기본급은 아주 중요한데요
그 이유는 세금이 기본급을 기준으로 결정되기도하며 우리가 받는 상여금등도 기본급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상여금"
기본급을 제외하고 일정한 시기나 조건에 따라 지급되어 받게되는 급여를 말합니다
우리는 보통 보너스라고 하죠?
"연장근무수당"
야근 휴일 출근 등을 합쳐서 말합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의 경우 야근 수당과 연장근무수당을 별도로 분리하였습니다
이처럼 회사별로 차이가 있지만 합쳐서 보는 경우도 있는 점 알아두세요
"복리후생비"
이 또한 회사별로 다른데요. 제가 다니는 회사의 경우 중식비로 별도 식비를 산정한 것과 달리 복리후생비에 포함시켜서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그러면 이런 월급 급여 내역에서 제외되는 공제 내역을 같이 알아보도록해요
공제내역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공제 내역 중 아마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 중 하나는 국가에서 수금해가는 4대 보험 일텐데요
일반적으로는 월급의 대략 8~9%사이입니다
4대보험으로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있습니다
"건강보험"
먼저 건강보험으로는 의무적으로 가입해야하는 사회보험 인데요
급여의 6.12%를 내지만 회사와 절반씩 내기 때문에 그보다 급여에서 공제되는 금액은 1/2로 감소하게 되죠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국가에서 수금해가는 4대 보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월급에서 9%를 내게 되어있는데요 그 중 건강보험처럼 절반은 회사에서 내주게 되어있습니다
즉 사업주가4.5%를 내고 내가 4.5%를 내는 거죠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의 약 3.3%가 장기요양보험료인데요
건강보험과 같이 월급에서 공제되는 금액으로 이 장기요양보험료의 경우도 회사에서 절반을 부담하여 총 6.6%정도를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고용보험"
고용보험의 경우 기업 규모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되어 공제 됩니다
1%미만의 금액이긴하지만 월급에서 공제되는 금액이며 이 금액을 통해 실업급여, 고용안정사업,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에 사용하게 됩니다
이렇게 급여내역에서 공제내역을 제외하고 나면 제일 하단에 "실지급액"이라는 항목을 만날 수 있는데요
이 금액이 바로 내 통장으로 들어오는 실제로 한 달에 받는 월급입니다
이렇게 내 월급에서 어느 비용이 나가는지 대략적으로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내 월급에서 공제액을 보면 어떤 항목이 공제되었고 그 의미를 알게되는 계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재테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재테크 부자되기의 시작, 부자의 생각 배우기 (0) | 2018.06.06 |
---|---|
월급쟁이 직장인 부자가 되기 위해 버려야할 것들 (0) | 2018.06.03 |
노후 걱정 그만! 직장인 재테크 노하우 공개! (0) | 2018.05.31 |
30대 직장인 재테크 성공을 위한 노하우! (0) | 2018.05.29 |
월급쟁이 부자의 시작, 월급 관리 5단계 팁! (0) | 2018.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