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지식

30대 직장인 재테크 성공을 위한 노하우!

반응형

30대의 재테크 고민은 결혼과 내집마련 자녀교육 등 목돈이 나가기 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재테크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는 나이이기도한데요.

한국 평균 수명이 80세가 넘는 현재,

지금의 30대는 60대에 퇴직하게 된다면 은퇴 후 30년 정도를 무수입으로 살아야 하는 상황이 오게 됩니다.

따라서 짧은 시간 번 돈으로 오랜 노후생활을 해야하기 때문에 전략적이고 치밀하게 재테크의 기초를 다져나가야 할 때입니다.

오늘은 30대에 시작하는 재테크 전략! 노하우에 대해 같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소득 높이기 - 이직, 승진의 가치를 고려하자."

재테크에서 제일 좋은건 소득을 높이는거죠.

소득이 높아지면 저축액도 늘어나고 그만큼 자산을 불리기도 쉽죠.

하지만 일반적인 직장인은 소득을 높이는데 제한이 있기 마련입니다.

소득이 높아지는 경우는 결국 승진을 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는 경우죠

본인이 투자하는 시간 대비 어느 방법이 더 효과적일지 스스로 생각하고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보세요.

본인의 몸값을 키우는게 제1의 재테크라는 점을 공감합니다.



"꾸준한 경제 공부로 재테크를 가까이하자"

출퇴근 길 전철, 버스 안에서 스마트폰으로 경제뉴스를 보기 시작하시는건 어떨까요?

금리, 환율, 정부 정책 등을 주시하면서 읽는 것만으로도 전체적인 사회 경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종잣돈 마련부터 시작하자"

종잣돈이라는 말처럼 재테크에서 한단계 업되기 위해서는 첫 종잣돈을 잘 만들어야 합니다.

본인이 세운 목표의 종잣돈을 만들고 재테크 전략을 짜면 더 효과적으로 자산을 불려 나갈 수 있습니다.



"주택 청약가입하기"

주택 청약을 추천하는 이유는 비과세가 되기도하고 주택 청약 통장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청약에 도전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



"지출 줄이기"

지출은 30대에게만 중요한게 아니죠.

모든 연령대의 재테크에서 가장 많이 말하는 건 바로 지출을 통제하라는 말입니다.

30대는경제활동을 가장 활발하게 하는 시기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버는 돈도 생애 중에 많은 편이지만 반대로 지출도 많은 편입니다.

이때 지출을 통제하지 않는다면 전체적인 저축 목표에 도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소비 중에 체크해야할 건 지출 규모가 크고 변동의 여지가 있는 식비, 취미활동, 의복비 등 입니다.

이런 비 정기적으로 지출되는 항목들을 일정 부분 통제해 준다면 생각보다 많은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저축 늘리기"

지출을 줄였다면 저축을 늘릴 수 있겠죠.

그보다 더 잘 할 수 있는 방법은 저축을 늘려서 소비를 통제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저축액을 크게 늘려서 목표 종잣돈의 기한을 정합니다.

강제 저축을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설정해두는 방법입니다.



"신용보다는 체크 - 신용카드 사용을 줄이자"

신용카드는 소비를 편하게 한다는 점에서 체크카드의 사용을 권장 드립니다.

또한 사용한 비용이 바로 통장에서 나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소비를 계획적으로 하기에는 체크카드가 더 유리합니다.

본인의 소비 통제가 잘 안된다면 체크카드에 그달의 용돈만 넣어두고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 드립니다.

또한 체크카드는 연말정산 소득공제율이 30%로 15%인 신용카드 2배입니다.



"그날의 남은 돈으로 비상자금을 마련하자"

저축을 강제로하게 되다보면 적금을 깨야하는 급작스러운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한번 깨게되면 두번은 너무나 쉽답니다

그래서 추천하는 건 어느정도 불확실한 소비를 감당할 수 있는 비상자금을 마련해두는 겁니다

그날의 남은 돈을 별도 통장에 넣어둔다던지, 매달 소비되는 용돈 중 얼마를 더 떼어서 비상금 통장에 넣어두는 겁니다



이렇게 30대에 시작해야하는 재테크 성공을 위한 노하우 팁을 알아보았습니다.

모두의 고민 돈! 조금씩 부족한 부분을 같이 채워나가봐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