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하면서 회사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나오는 용어 당기순이익에 대해서 바로 알아보도록할게요!
왜 당기순이익을 알아야할까요?
주식은 회사에 자본을 투자해서 경영을 맡기는 행위입니다.
나를 대신해서 투자금을 주고 그 회사의 지분을 사는거죠. 그리고 ceo가 회사를 운영해준 결과에 따라 배당금을 받거나 주가가 상승하는 이득을 얻을 수 있죠.
그리고 주주가 된다는 건 내가 그 회사의 간접적인 경영자가 된다고 보면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주주로써 좋은 주식을 사고 내 자금으로 그 회사가 잘 경영되길 원한다면 지금까지 회사가 어떤 수치를 달성해왔는지 봐야겠죠.
회사에 대해서 공부한다는 건 현재까지의 재무제표를 읽고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같이 이해하는 것이죠.
그러기 위해서 재무제표에 나오는 용어들을 하나씩 보도록해요!
당기순이익
당기순이익은 공헌이익에서 고정비 및 영업외 손익을 공제한 잔액이라고 합니다.
조금 더 쉽게 풀어서 말한다면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등을 빼고 여기에 영업외 수익과 비용 특별 이익과 손실을 가감 후 법인세를 뺀 금액입니다.
즉 일정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기업의 전체 수익 - 전체 비용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간단히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당기순이익 = 영업수익 – 영업비용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등) + 기타 손익 + 금융손익 – 법인세비용
그렇다면 그다음 나오는 용어인 영업이익과는 어떤 차이인지 한번 구분해보도록해요
영업이익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일반관리비 - 판매비
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영업이익에서 기타 손익과 금융손익을 가감하고 법인세비용을 뺀 경우가 당기순이익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개념적으로 설명하자면
영업이익은 영업과 관련해서 발생한 매출에서 제품 매출과 관련된 원가와 관리/판매비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당기순이익은 판매와 관련되지 않은 여러 비용, 수익을 더하고 빼서 만든 마지막에 남는 순수한 이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을 운영하는 데는 판매와 판매 관련된 비용만 발생하는 게 아니죠.
기계 부동산 주식 이자 환차손 등 다양한 비용과 수익이 갑자기 생기고 없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점을 더한 금액까지 보는지 제외하고 보는지에 따라서 나눠지게 됩니다.
주식 공부를 하시면서 기업 공부를 하게 되고 그때 기업에 당기순이익, 매출, 영업이익 등 다양한 재무제표 용어를 만나게 될 텐데요.
오늘 이 시간을 통해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재테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주린이 라오어의 미국주식 무한매수법 따라하기 (1) | 2021.08.28 |
---|---|
주린이 주식투자 - 해외 주식 사는 법! (0) | 2021.02.17 |
직장인 주식 투자 - 미국 주식 2021년 휴장일 알아보기 (0) | 2021.02.12 |
직장인 주식 투자 - 주식 배당금 기준일 지급일 받는법 (0) | 2021.02.10 |
직장인 재테크 주식 투자 - 미국 배당 ETF SPHD (0) | 202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