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샀고 배당이 나오는 걸 알고 있는데 배당금 기준일을 모른다면? 주식은 배당금 기준일과 지급 예정일을 알아야 현명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 배당금 기준일에 대해 알아보도록할게요.(이게 은근히 알아보기 힘들더라고요!)
올해 배당금은 언제줄까? - 작년 배당일로 예측해보기
국내 주식의 경우 사전에 미리 공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미리 배당금 얼마를 언제 줄지 모르기 때문에 작년에 배당금을 주었던 기간으로 예측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https://seibro.or.kr/
seibro.or.kr
증권정보 보털이라는 곳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작년 배당일이 궁금하다면
메뉴에서 주식 -> 배당정보 -> 배당 내역 전체 검색으로 이동해주세요.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저희는 삼성전자 보통주의 작년 배당일이 언제인지 궁금해서 지금 기준으로 1년까지 기준일을 검색해보았어요.
2020년을 보니 3월 6월 9월 12월, 즉 분기 배당을 한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배당기준이리 분기말이었네요.
우선주도 봐볼까요?
우선주의 경우도 분기말인 3월 6월 9월 12월 말일이었습니다. 그리고 배당은 현금배당을 했군요.
이렇게 작년 배당을 언제 주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조금 더 배당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다면
밑에 메뉴에 있었던 배당 내역 상세메뉴로 들어가세요. 그리고 이번에도 삼성전자 주식을 쳐보겠습니다.
삼성전자의 배당금과 배당 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DPS는 주당 배당금입니다.
주당 배당금 = 전체 배당금/ 주식수
한 주당 받는 배당금이라고 볼 수 있죠.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배당성향 = 총 배당금/당기순이익
2020년 자료는 없지만 2016년부터 삼성전자는 19년까지 꾸준하게 배당성향이 높아진 걸 알 수 있어요.
네이버 금융보다 seibro를 보면 좋은 이유?
빠르게 찾기에는 네이버에서 찾는 게 더 편하실 거예요. 하지만 우선주와 보통주의 배당 차이를 한눈에 보기에는 위 사이트가 더 좋아서 추천드렸습니다.
배당기준일이 공지되었고 이미 알고 있다면 언제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될까?
배당락일 하루 전까지 매수를 하면 됩니다.
왜 배당주는 마지막 날 사면되지 않냐고 물으실 수 있습니다.
이유는 주식을 사면 구매 후 +2일 뒤에 소유권이 완료되기 때문입니다. 이전에 d+2일에 매수가 완료된다는 얘기는 해드렸죠?
배당락일이란?
위에 말한 배당락일에 대한 개념도 필요한데요 배당락일은 배당받을 권리가 주어지는 마지막 날을 말합니다.
그래서 배당금 언제 해주는 거죠? 배당금 지급일
배당금을 지급받는 건 실제 한 4개월 정도 뒤에 지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각 기업의 주총은 배당락일 기준으로 3개월 뒤에 개최되며 이후 1개월 정도 뒤에 지급으로 의결하는 경우가 많아서입니다.
그래서 넉넉하게 5월 개월 안으로 지급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 예시는 삼성전자를 기준으로 국내 주식을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미국 주식은 사전에 미리 배당을 준다고 공지를 조금 이르게 하거나 월배당을 하는 곳도 있어서 다릅니다.
아직 작년에 삼성전자 주식을 샀지만 배당이 안 들어왔다면 이점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재테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 주식투자 용어 설명 - 당기순이익 영업이익 (0) | 2021.02.14 |
---|---|
직장인 주식 투자 - 미국 주식 2021년 휴장일 알아보기 (0) | 2021.02.12 |
직장인 재테크 주식 투자 - 미국 배당 ETF SPHD (0) | 2021.02.08 |
직장인 재테크 주식공부 - 삼성전자 우선주 배당금 (0) | 2021.02.08 |
주식 예수금이란? 대용금과 예수금 출금가능금액 d+2 d+1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