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노후 준비에 가장 기본은 국민연금입니다. 직장인은 강제로 가입되기에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노후 대비 대책인데요.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부터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예상하는 것은 이후 노후준비 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에 대해 같이 알아보고 수령나이와 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같이 알아보도록해요.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4대보험 중 하나로 국가에서 시행하는 노후소득보장제도입니다.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대부분의 경우 국민연금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서 납부를 해야합니다. 4대보험으로 즉 급여에서 자동으로 떼어져 나옵니다. 그래서 마치 세금처럼 여기지기도합니다.
"국민연금 수령 기준"
국민연금은 만 60세가 되기 전까지 납부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나면 만 61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데요. 연금 수령액은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가입 중에 낸 평균 소득 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지급됩니다.
그리고 국민연금은 최소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을 납부해야 연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연금 수령 연령에 도달 하였지만 최소 가입기간인 10년을 채우지 못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 동안 납부한 국민연금 보험료에 이자를 더해서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으로 꾸준히 받을 순 없는거죠.
"경력단절로 납입기간이 모자란 경우"
경력단절로 국민연금 납입이 10년을 못채웠지만 국민연금을 받고싶다면 어떻게 하면될까요? 추후납입을 통해 추가로 연금을 계속 납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득이 없는 사람도 지역가입자로 국민연금을 가입할 수 있는 '임의가입자' 제도를 통해 노후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전업주부의 경우 임의가입자 제도를 통해 가입하여 노후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에 직장인이 좋은 이유"
임의가입자의 경우 100% 국민연금 보험료를 부담해야하는 반면 직장인이라면 회사에서 50%를 부담해줍니다. 따라서 직장인이 이경우는 조금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내 연금 언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국민연금 사이트를 통해 내 연금을 언제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쉽게 예상해볼수 있습니다.
국민연급 사이트(http://www.nps.or.kr/jsppage/csa/csa.jsp)로 들어가 예상 연금액조회를 통해서입니다.
"국민연금 수령은 60세부터?"
국민연금은 출생연도에 따라서 받기 시작하는 시기가 다릅니다.
출생년도가 1952년 이전이라면 노령연금 수령이 60세부터이지만1969년생 이후라면 65세부터 수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가입기간이 10년이상이고 연령이 55살 이라면 조기 노령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물론 노령연금보다는 적은 금액을 받게 되지만요
따라서 본인의 계획에 따라 조금 더 일찍 받는 것이 유리하다면 조기 노령연금을 신청하여 받는 방법도 있다는 점 알아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재테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재테크 투자 귀재 워렌버핏의 명언 (0) | 2018.07.17 |
---|---|
직장인 재테크 고령화에 주목해야하는 이유 (0) | 2018.07.10 |
직장인 재테크 돈관리를 쉽게 도와주는 금융 앱 추천 (0) | 2018.07.06 |
직장인 재테크 환율 상승의 원인 / 미중무역분쟁 / 미금리인상 이슈 (0) | 2018.06.30 |
직장인 재테크 부동산 후분양제는 무엇일까? (0) | 2018.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