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저도 미혼남녀 중 한 명인데요
결혼 비용은 먼 미래의 큰 부담입니다
그래서 오포세대라는 말도 나왔죠
생각만으로도 숨막히는 결혼비용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과연 결혼비용은 얼마나 될지 알아볼까요?
결혼정보업체 (결정사라고하죠?) 중 듀오의 '2017 신혼부부의 결혼비용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 결혼 비용은 2억 6332만원이라고 합니다..
평생 1억도 본 적이 없는데 2억하고도 6천만원이라니요..ㅠ
이 비용에는
신혼집 마련 비용(1억 8640만원)과 나머지 7692만원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7692만원으로는 예식장과 웨딩 패키지(스 드 메라고하죠) 비용으로 사용 됩니다
신혼집은 그렇다고 치고...예식비용이 2000만원이 넘고 예산 혼수 신혼여행 등으로 5천만원을 넘게 사용한다고 합니다
많은 주변에 결혼하신 분들이 그리고 많은 기사의 설문조사 결과에서 신혼 부부들이 가장 후회되는 비용이 결혼 비용이라고 하는데요(예식장과 스드메)
막상 준비할 때는 주변의 시선과 한 번(?) 하는 결혼에 아쉬움이 없기 위해 조금은 무리해서 진행하기도 합니다
또 사실 이만큼 많은 돈을 이전에 써본 적이 없다 보니 무감각하게 비용을 쓰게 될 수도 있게 되리라 봅니다
그럼 어떻게 아낄 수 있을지 한번 알아볼까요?
1. 내가 쓸 돈을 확인한다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계산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냥 이거 좋으니 하자하자 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내 소득 수준을 넘어서는 계획을 세울 수 있어요
좋은데서 하고 싶은 마음은 모두 같은 마음이지만 결혼은 식이 중요한 게 아니고 그 이후가 중요하니까요
조금만 마음을 참아 봅니다
2. 결제 카드를 미리 알아본다
고가 상품을 그리고 비용을 많이 쓰기 때문에 미리 할인이나 적립을 더 받을 수 있는 카드를 알아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그리고 큰 가전제품의 경우 살 때 어떤 카드를 발급받으면 더 할인을 해준다던지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 그런 부분도 확인해보시면 꽤 많은 돈을 아낄 수 있겟죠?
(8천만원 쓰는데 1%라면 80만원이니까요.ㅎ)
그리고 카드사별로 웨딩클럽을 운영해서 웨딩홀이나 패키지들을 할인해주기도 하니 참고해서 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평일 저녁 일요일 예식 여름 겨울철 비수기에 예식을 한다
슬프지만 역시 이 시장도 자본주의 시장입니다
사람들이 비선호하는 시간이나 계절이나 요일을 선택한다면 아무래도 많이 아낄 수 있습니다
4. 참석할 예상 하객 수를 꼼꼼히 계산해본다
결혼식장의 경우 식대 비용으로 보통 계산이 많이 되는데요
이런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는 올 사람의 명단을 상세하게 계산해보는게 좋습니다
이를 통해서 결혼식장 뿐만 아니라 청첩장 인쇄비도 아낄 수 있습니다
5. 한복은 대여하자
이왕 하는 거..라면서 한복을 구매하시는 분들도 있으신데요
사실 한복 몇번 입지 않는데 비용이 꽤 부담이 됩니다
그러니 촬영할 때만 입는 걸로 대여하신다면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제일 현명한 결혼식을 하는 방법은
"부부의 행복을 생각하는 겁니다"
빚까지 지면서 결혼하는 게 부담이 된다면 결혼식에서는 좋을지 몰라도 식이 끝나고 나서 신혼시절부터 힘들 수 있겠죠?
부부가 행복할 걸 생각한다면 가장 최적의 밸런스의 결혼 준비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경제적 이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유값 인상 주유소 기름값 비교 사이트와 어플로 비싼 연료비 절약하기 (0) | 2017.10.28 |
---|---|
중소기업 취업 청년 세액 공제 신청 으로 소득세 감면 받자! (0) | 2017.10.27 |
명절 연휴 후유증/증후군 극복 방법 (0) | 2017.10.10 |
티몬 적립금 2천원 받고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구매하기 (0) | 2017.10.01 |
추석 기간 bc카드 스타벅스 할인 (0) | 2017.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