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신문 읽기

3월 다섯째주 경제 신문 정리

반응형



한주간의 경제 뉴스를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합니다.

개인적인 관심을 기반으로 뽑았습니다.

같이 배워볼까요


1. 건강보험료 부과 체계 변경

피부양자 자격 기준을 높이고 직장가입자의 보수 외 소득에 건보료를 확대


2. 저축은행 자산 증가

왜? - 저금리 추세 속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쫓아 자금이 저축은행에 유입

결과 - 자산 1조원 이상 대형 저축은행 15개로 전년보다 1개 늘어남(기존 저축은행 들도 대부분 자산 증가)

사설 - 저도 저축은행에 적금을 작년부터 들고있습니다. 시중은행(1금융권)보다 위험하다는 의견도 있으나 실질적으로 금리를 고려하고 5천만원까지는 예금자 보호가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안이라면 충분히 할만한 것 같습니다


3. 한국 증시 3월 주요 10개국중 상승폭 1위

왜?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세재 개편안 기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탄핵 결정 등 불안요소 해소

사설 - 미국 세재 개편안이 미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 미국 증시 호조 -> 국내 증시도 호조일 가능성이 높다


4. 인천공항철도 제2터미널역 마곡역 연말 개통

최근 마곡역이 핫했다고함(부동산 시장에서) 그런데 인천 공항철도도 개통 될 예정임


5. 11번가 터미 오픈마켓 시장 2년 연속 1위

왜? - 지역 사무소를 통한 지역 특화 상품에 대한 터키 소비자의 수요 충족

사설 - 신규 시장에 대한 선점 효과를 기대하는 것 같음


6. 대선 주자들 수수료 인하 공약

사설 - 카드업계의 입장에서 만든 기사를 보았음(카드사들 죽는다는 내용)

정말 그럴수도있으나 반대로 카드 수수료가 소액에 대한 부분이여서 오히려 소액 결제를 꺼리던 소비자들의 카드 결제 유도로 인한 절대 수 증가가 예상 될 수 있음

그리고 수수료도 얼마 이하일경우 등 차등적으로 적용하면 현실적인 방안으로 진행될 수 있지 않을까?


7. 한국은행 작년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 2만 7561달러

GNI(1인당 국민총소득) -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사람을 중심으로한 계산)


8. 갤럭시 S8 언팩 행사

미국에서 지난 29일 오전 11시 언팩 행사를 열었음

S8 과 S8+를 공개


사설 - 개인적으로 해당 언팩행사를 30분 정도 봤는데 재미없어서 사실 껐음^^;;;

디자인은 정말 이뻤음

다만 강조한 벅스비(음성인식 인공지능 비서 - 특징은 여러 문장으로 된 명령도 소화하는 음성 인공 지능 기술)나 다른 기능적인 요소는 큰 차이를 모르겠음...

일단 산다면 디자인만으로 사고싶은 폰~!


9. 은행채 발행 증가

왜? - 미 기준 금리 오르기 전 필요 자극 사전 조달하려는 움직임

미 기준 금리 오르면 우리도 금리 오를 가능성이 높음 -> 은행채 금리도 올라갈 가능성이 높음 -> 자금 조달 부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