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지식

실패없는 재테크 실천을 위한 3가지 다짐

반응형


막상 재테크를 해야겠다고 마음 먹어도 금방 소비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와 급지름을 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돈 모으기의 첫 걸음은 저축인데 그만큼 쉽지가 않죠

저축을 해서 종잣돈을 모아야 투자를 할 수 있고 투자로 돈을 불려서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가 있게 됩니다

하지만 너무 처음부터 무리해서 저축하기 위해 허리띠를 졸라메다 보면 금방 지쳐서 나가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어차피 이렇게 모아봐야 얼마 안되는데 그냥 써버리자!"

이렇게 되버리죠

그러다보면 더 큰 '지름신'을 만나 나도 모르는 지출이 술술 세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재테크를 처음부터 오랫동안 이끌고 가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1.목표를 정하자 - 돈 모아서 어디다 쓸껀가요?


저는 이 목표 정하기가 아주 중요한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전에 말씀드린 3년 안에 또는 4년 안에 1억 모으기와 같은 목표를 세우는 거죠

그리고 그 돈으로 나는 00에 쓰겠다라고 목표를 세우고 나면 돈이 쌓여가는 재미를 좀 더 알수 있을 것 같아요

저 같은 경우 50대 목표 40대 목표 35살 목표 그리고 올해 목표 달별 목표 등을 정해놓고 용돈 관리 및 저축액 관리를 하고 있어요

그래서 예상보다 용돈을 덜 쓰면 목표에 한걸음 다가선 느낌이 나서 기분이 좋더라구요!


그리고 중간중간 너무 모으기만 하는게 아닌 중기 다른 목표를 세웁니다

예를 들어 올해는 꼭 여행을 가겠다(한 달 10만원씩 아껴서 모으기) 이런식으로요

그러고나면 갔다 온 여행이 더 소중하고 뿌듯하게 느껴집니다





2. 적은 돈이라도 저축하자


사실 종잣돈을 모으기 전까지는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아무리 금융권이 적은 이자를 주어도 일단 돈을 모은다는 점에서는 강제 저축 방법이 나름 유용한 것 같습니다

강제로 매달 자동이체로 00만원씩 적금 들어 놓기

 * 특히 월급날 설정해주시면 더 유용합니다


많은 분들이 미혼 직장인이라면 월급의 절반 이상은 저축을 하라고 권유하는데요. 이것도 너무 위 기준에 맞추려고하기보다는 스스로 소득을 고려하여 적당수준에서 정하는게 더 오래 저축 습관을 끌고 갈 수 있더라고요

예를 들어 지난달에는 100만원을 썼으니 이번 달부터는 90만원만 쓰고 10만원 더 저축하자!

이런 식으로요

그러다보면 내가 어디에 소비를 하는지 체크하게 되고 그럼 오히려 더 소비를 줄일 여지를 찾기도 하게됩니다




최근에는 용돈달력이라고도 많이 사용하시는데요

하루에 얼마만 쓰게 하고 나머지는 다 저축하는 거죠

극단적으로 하루 1만원으로 사는 걸 목표로 매일 1만원씩 넣어두고 그보다 안 쓴 돈은 빼서 저축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는 이렇게 독하게는 못해요.ㅠㅠ)

중요한 건 내가 저축을 한다는 점과 저축을 하면서 내 소득과 지출을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습관 형성인 것 같습니다




3. 추가 수입은 추가 지출이 아니라 저축이다


저는 추가로 나오는 돈은 제 자기계발 또는 저축으로 무조건 보냅니다

예를 들어 명절 상여가 나온다거나 한다면 기쁜 마음으로 사용하기보다는 그냥 바로 별도 통장으로 넣어버려요

즉 별도 추가 수입이 생긴다고 그 돈을 내 한달 용돈에 포함시키기보다는 추가적인 저축 또는 의미 있는 자기계발에 사용하는 거죠

이러면 급작스럽게 처음 설정한 목표에 한 발자국 다가간 기분에 오히려 저축에 집중하게 되는 효과가 있더군요


각자만의 재테크 시작 방법이 있겠지만

그 시작인 종잣돈 모으기에는 모으겠다는 마음 다짐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반응형